부동산을 거래 함에 있어서 좋은 공인중개사를을 만나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친절하게 상담해주고 최신 개발정보를 들려주는 것도 좋지만 무엇보다도 믿을만한 중개사인가가 가장 중요할 겁니다.
최근 발생한 전세사기를 비롯하여 공인중개사가 사기를 주도하거나 개입하는 경우도 있고 자격증을 대여한 무자격 공인중개사로 인해 무책임한 거래가 진행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실 전자보다는 후자로 인한 피해사례가 더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부동산 거래 경험이 없는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들이 믿을만한 공인중개사를 만나고 싶은 마음이야 말할 것도 없지만 중개거래 시스템 상 공동중개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인중개사 입장에서도 처음만나는 중개사와 공동중개를 하는 경우 조심스러운 건 마찬가집니다.
사실 누군가가 마음먹고 사기 치려 한다면 당해낼 재간이 없기도 하고 공인중개사 입장에서도 공동중개를 진행하는 중개사가 무자격자인지 아닌지 정확하게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 또한 처음 만나는 중개사와 공동중개를 진행하는 경우 몇 가지 확인하는 것이 있습니다.
첫번째, 자격증 및 등록증 게시 위치
공인중개사무소는 등록업종입니다. 따라서 세무서에서 발급받는 사업자 등록증 외에 구청에서 발급받은 개설등록증이 있는데, 자격증과 개설등록증은 사무소에 게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자격증과 개설등록증에는 공인중개사의 사진이 있기 때문에 무자격자인 경우 사무소 깊숙한 곳에 잘 안보이도록 게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번째, 왠지 모르게 어색한 책상
중개사무소 특성상 직원들은 외근이 많기 때문에 비어있는 책상이 있는 경우가 많긴합니다. 하지만 책상의 배치나 컴퓨터 및 모니터의 상태, 책꽂이나 필기구 등을 보면 사용하던 것인지 오래동안 비어있던 자리인지 대략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물론 직원이 있었다가 그만 둔 경우 책상을 오래 비워둘수도 있고 불시에 점검이 나올 경우를 대비해 사용흔적이 있는 것처럼 꾸며 놓을 수도 있지만 그럼에도 비어있는 책상이 왠지 모르게 어색하다 싶으면 한 번쯤 의심해볼 만 합니다.
세번째, 등록번호 확인
앞서 말씀드렸듯이 중개사무소는 구청에서 발급받은 개설등록증에 등록번호가 있습니다. 이 등록번호는 계약서에는 무조건 기재가 되고 명함, 간판 등에 기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한국공인중개사협회나 국가공간정보포털에 들어 가셔서 검색하시면 등록번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검색방법은 아래 포스팅을 확인하세요.
중개사무소, 공인중개사, 중개보조원 조회하기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한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에서는 계약체결시 임대인의 신분과 공인중개사 정상영업 여부, 그리고 주택임대차 표준계약서를 활용하라고 권장하고 있습
reostory226.tistory.com
현재는 등록번호가 '00000-0000-00000' 이렇게 나오는데 가운데 네자리가 개설등록한 연도 입니다. 다시말해 중개사무소가 얼마나 오래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혹은 위에서 말한것과 다른 등록번호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가0000-0000' 이런 경우인데 지금은 나오지 않는 번호이므로 최소 10년은 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무자격자인 경우 자격증을 자주 대여하기 때문에 비교적 연식이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신축빌라를 중개하는 업소 중 건축업자와 손잡고 잠깐 개설등록했다가 물건을 다 빼면 사무소를 접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도 신축빌라를 거래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연식이 짧은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무자격자라고 해서 꼭 무책임하고 사기만 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자격증을 가지고 한자리에서 오래 중개사무소를 운영했다고 해서 꼭 믿을만한 중개사일 거라는 법은 없습니다. 실제로 20년 넘게 한자리에서 부동산 하시던 사장님이 보증금 들고 도망간 사례도 몇 번 있었으니까요.
하지만 의심스러운 점은 한번 쯤 확인해볼 필요가 있고 전세사기에 가담했거나 무자격으로 중개사무소를 운영하는 경우 그나마 취약할 것이라고 판단 되는 부분들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 글이 전세사기를 예방하는 완벽한 거름망이 될 순 없지만 조금이라도 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거래를 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적어봅니다.
'부동산 사기예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전세사기 수법 (0) | 2023.05.22 |
---|---|
지역주택조합(지주택) 파헤치기 (0) | 2023.05.19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가능 주택 셀프 체크 (0) | 2023.05.09 |
인천시 미추홀구 찾아가는 전세피해 지원 서비스 확대 운영 알림 (0) | 2023.05.04 |
한 번쯤 의심해봐야 하는 전세사기 광고문구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