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사기예방

안심전세앱(App)을 이용하여 빌라 시세 확인하는 방법

by 부동산쌤 2023. 3. 16.
반응형

지난 2월2일 HUG(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안심전세앱'을 출시하였습니다. 지난해 주거안정과 전세사기예방을 위한 방안으로 안심전세앱을 출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었는데 현재 1.0 버전으로 출시가 되었으며 앞으로 2.0 3.0 버전을 통해 서비스 범위와 기능을 더욱 확대 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제가 전세사기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말씀드렸던 것이 바로 '시세' 였습니다.

 

물론 등기부등본에서 제한물권을 확인하는 것, 건축물대장에서 위반여부와 용도를 파악하는 것, 계약하는 임대인이 본인이 맞는지, 본인이 아니라면 위임장과 인감증명서를 첨부했는지 등 중요한 것들이 많지만 일반적으로 세대수가 많은 오피스텔이나 아파트는 시세파악이 쉬운 반면에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나홀로 아파트 등 구조가 다양하고 거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시세파악이 어려워 빌라왕사건과 같은 전세사기피해를 당할 우려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출시 된 안심전세앱에서는 50세대 미만의 나홀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 기존에 시세파악이 어려웠던 물건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안심전세앱을 다운 받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빨갛게 표시된 박스를 누르시면 시세조회&위험성진단이 나오는데 클릭하신 후 본인인증을 하시면 됩니다.

시세를 알고자 하는 물건의 주소를 검색하셔서 조회를 누르고 동, 호수를 입력하시면 대략적인 매매시세와 경매가 진행되는 경우 예상 낙찰가액이 나옵니다. 

 

 

제가 알고 있는 시세와는 조금 차이가 있긴 하지만 안심전세앱이 아직까지 초기단계이기도 하고 앞으로 데이터가 계속 쌓이다 보면 좀 더 정확한 시세파악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추가적으로 아래쪽 빨간 박스로 표시 된 자가진단을 눌러서 입주예정일과 보증금액, 상황에 따라서 저당권과 같은 물권정보를 입력하시면 간단한 코멘트를 해줍니다.

이 자가진단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시간에 자세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