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사기예방

전세사기 예방을 위한 빌라(다세대주택) 시세 확인하기

by 부동산쌤 2023. 2. 18.
반응형

저는 개인적으로 빌라왕, 오피스텔왕과 같이 최근 이슈 되고 있는 전세사기를 예방 하기 위해서는 시세 확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래서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에서 매매가 대비 적정 전세가율을 확인 하기 위한 네가지 방법 중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활용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 부동산앱 등을 통한 적정 시세 체크
  • 물건지 인근 복수의 중개 업소 방문
  • 지역별 전세가율 체크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검색하시거나 rt.molit.go.kr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에 대한 실거래가는 네이버부동산에서도 쉽게 확인 할 수 있으므로 빌라에 대한 시세를 확인 하기 위해서는 먼저 빨간색으로 표시 된 연립/다세대 탭을 누르셔야 합니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빌라는 연립주택 혹은 다세대주택을 말합니다.)

 

 

화면 왼쪽에 '검색' 탭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지역을 누르시고 빌라 이름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빌라는 영어이름도 많고 OO빌라 OO빌라트 OO주택과 같이 가지각색이기 때문에 검색이 안되신다면 지도에서 찾으셔도 됩니다.

 

확인하고 싶은 빌라를 찾았는데도 실거래 내용이 나오지 않을때는 검색탭에서 기준년도를 바꿔보시면 다른 결과가 나오실 겁니다. (23년에 거래건이 없다면 기준년도23년으로는 검색되지 않습니다.)

기준년도 2021년도 연립/다세대 실거래가 검색결과

파란색 원이 뜨는 곳은 기준년도에 실거래(매매 혹은 전월세)가 있는 경우이고 파란색원이 뜨지 않는 곳은 기준년도에 실거래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본인이 확인하고자 하는 빌라에 대한 실거래가 확인 된다면 매매 혹은 전세의 시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빌라는 세대수가 적고 거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실거래가 존재 하지 않거나 믿어도 되나 싶을 정도로 오래된 거래기록들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가장 핵심인 빌라왕 전세사기와 같은 경우는 신축이라 실거래가 없는 경우도 많고 신축이 아니더라도 애써 실거래 기록이 없는 빌라를 타겟으로 잡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확인하고자 하는 빌라와 비슷한 빌라를 찾아서 비교를 해야 하는데 어떤 기준으로 비슷한 빌라를 찾아야 하는지 궁금하실겁니다.

 

위의 사진에서 파란색 원을 클릭해 보시면 아래와 같이 빌라에 대한 상세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먼저 가장 왼쪽에 있는 전용면적을 확인하시고 오른쪽에 보기를 눌러보시면 토지이용계획과 토지대장 건축물대장에 대한 정보가 나오는데 건축물대장을 탭에서 건축년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전용면적과 건축년도를 비교해서 시세를 파악합니다. 

 

확인하고자 하는 빌라의 시세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주변 지역에서 비슷한 전용면적과 비슷한 건축년도를 가진 빌라의 시세를 참고하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층별로 다르게 시세를 비교해보는것도 좋습니다.

 

물론 비슷한 전용면적과 비슷한 건축년도를 가진 빌라를 하나하나 클릭해서 확인해봐야 하는 번거러움도 있고 주변지역의 빌라라고 해도 거래량이 많지 않아 찾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빌라 특성상 동향, 북향등 다양한 방향의 집도 많고 건물간의 간격이 좁아 채광이 전혀 없는 곳, 대지모양과 건폐율등의 이유로 다각형으로 생긴 구조등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상당히 많다보니 때에 따라 정확한 시세파악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에서 매매가 대비 적정 전세가율을 확인 하기 위한 네가지 방법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적어도 빌라왕에게 전세사기 당하는 일은 없을겁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