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생활

59㎡가 몇 평이야?? 3초만에 계산하는 방법

by 부동산쌤 2023. 6. 9.
반응형

과거에는 '평'이란 단위를 많이 사용했지만 지난 2007년 단위환산법 개정으로 인해 평보다는 ㎡ 사용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분양광고나 네이버부동산 등 부동산의 면적을 표시 할 때도 항상 ㎡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아직도 대다수의 분들은 ㎡보다 평이 더 익숙합니다. 보통 25평이라고 하면 감각적으로 이 정도겠네 라고 생각하시지만 60㎡ 라고 하면 대략적인 감을 잡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용면적 59㎡, 84㎡ 는 대략 26평, 34평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59㎡와 84㎡는 전용면적이고 26평, 34평은 공급면적 혹은 계약면적이므로 전용면적이 59㎡ 라고 해도 어떻게 짓느냐에 따라 25평이 될 수도 있고 27평이 될 수도 있습니다. 즉, 전용면적 59㎡가 정확히 몇 평인지는 대부분 모르신다는 거죠.

 

또한 나홀로 아파트나 신축빌라, 오피스텔 등은 면적이 워낙 다양해서 홍보전단지나 현수막을 보더라도 단순히 ㎡ 표기만으로는 정확히 몇평을 말하는 건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저 또한 손님들에게는 평으로 소개하는 경우가 많지만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과 같은 공적장부를 확인하거나 인터넷광고를 하는 경우에는 ㎡를 항상 사용합니다. 다만, 면적이 비교적 정형화 되어 있는 아파트를 제외 하면 면적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그때마다 ㎡를 평으로 계산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대부분 알고계시는 일반적인 환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들어 59㎡를 평으로 바꾸고자 한다면 59를 3.3058로 나누거나 59에 0.3025를 곱하면 됩니다.

반면, 25평을 ㎡로 바꾸려면 25를 0.3025로 나누거나 25에 3.3058을 곱하면 값을 구할수 있습니다.

다만, 단위환산을 수없이 해온 저도 59㎡나 84㎡ 처럼 흔히 볼 수 있는 면적을 제외하면 몇평인지 바로바로 떠오르지가 않습니다. 따라서 3초만에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를 반올림 한 후 3을 곱해주시면 됩니다. 정확히는 0.3을 곱해야 하지만 소수점이 등장하면 괜히 더 어려울 것 같으니 3을 곱한 후 마지막 자리 자르면 됩니다.

단, 1의 자리가 5일 때는 반올림 하는 경우 오차가 커지기도 하지만 단순 암산이 크게 어렵지 않으므로 반올림 없이 바로 3을 곱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59㎡인 경우 반올림 하면 60입니다. 3을 곱하면 180. 

굳이 마지막 자리를 자르라고 하지않아도 180평이라도 생각하시는 분은 없겠죠? 대략 18평입니다.

 

만약 75㎡ 95㎡ 등 1의 자리가 5라면 반올림 없이 바로 3을 곱합니다. 225, 285가 나옵니다. 75㎡는 대략 22.5평 95㎡는 대략 28.5평이겠네요.

이렇게 계산하시면 정석으로 계산한 실제 계산값과 오차가 5% 미만입니다. 

추가로 조금 더 오차를 줄이고 싶으시다면 1의 자리가 4, 6인 경우 5로 바꾸어 계산하시면 좋습니다.

 

예를들어 94㎡인 경우 반올림을 한 후 3을 곱하면 27평으로 정석대로 계산한 28.43평과 5%의 오차가 생기지만 94㎡를 단순히 95㎡라고 계산하면 3을 곱해서 28.5평이 나오므로 오차가 0.2%입니다.

이 계산법이 익숙해지면 굳이 단위환산을 검색하거나 계산기를 꺼내지 않아도 3초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